예술미디어융합학과

 

교수진

교수소개

게시글 검색
전체
  • 이동은 교수

    Dongeun Lee

    학과장
    • 전공분야

      뉴미디어, 스토리텔링, 영화, 게임, 웹콘텐츠

    • 담당과목

      스토리유니버스

    이동은

    상세보기

    영화, 게임, 메타버스, 공연 등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연구자이자 기획자로 미디어가 진화하면서 변화하고 있는 스토리텔링 기술에 주목하여 그 속에서 인문학적 가치를 찾는 연구와 교육, 그리고 창작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스토리유니버스>, <K-스토리텔링>, <메타버스에선 무슨 일이 일어날까>, <나는 게임한다 고로 존재한다> 등이 있다.
    
    As a researcher and creator of 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including film, games, metaverses, and performances, she focuses on research, education, and creative activities that focus on the changing storytelling technologies as media evolve and find humanistic values in them. Her books include <Story Universe>, ,<K-Storytelling>, <What Happens in the Metaverse>, and <I play the games, therefore I am>.
  • 이상민 교수

    LEE SANGMIN

    • 전공분야

      현대문화, 현대소설, K콘텐츠, 교양교육

    • 담당과목

      몰입과 경험 인사이트 뉴미디어 콘텐츠 트렌드 경험마케팅 이해 로컬 크리에이터 프로젝트

    이상민

    상세보기

    책을 읽고 문화를 사랑하며, 재미있고 즐거운 일이라면 흥미를 갖고, 낯선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며 탐색하길 즐긴다. 미래 문화 트렌드를 예측하고, 문화 경험과 향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문화 통찰력을  대표저서로는 <인성교육, 경계에 서다>, <우리 시대의 레미제라블 읽기>,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대중매체 스토리텔링 분석론> 등이 있다.
    I love to read, love culture, am fascinated by things that are fun and entertaining, and enjoy exploring new and unfamiliar perspectives. She is interested in predicting future cultural trends and studying cultural experience and enjoyment. His cultural insights can be found in books such as <Character Education, Standing on the Boundary>, <Reading Les Misérables in Our Time>, <The Cultural Genes of Koreans>, and <Analysing Mass Media Storytelling>.
  • 임학순 교수

    Haksoon Yim

    • 전공분야

      콘텐츠산업, 문화정책, 지역문화, 예술경영, 문화유산정책

    • 담당과목

      콘텐츠산업론 콘텐츠마케팅 문화경영 실습 문화정책 이해 예술관광 문화예술융합개론 문화트렌드연구 세미나 문화창조산업 이해 문화창조도시 필드워크숍

    임학순

    상세보기

    주요 연구분야는 문화정책, 문화창조산업, 문화경영 분야이며, 최근에 문화유산, 예술과 기술융합 분야로 연구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학교에 오기 전에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정책연구자로 근무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공공문화기관의 문화정책 사업을 포함하여 예술과 문화영역에서 정책연구자 및 정책컨설턴트로서 활동하고 있다. 2015년에는 한국예술경영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저서로 ”창의적 문화사회와 문화정책“이 있다. 
    
    His research focuses on the cultural policies, the cultural & creative industries, the cultural management and more latterly the cultural heritage, the convergence of arts and technology. Before entering academia he worked as a cultural policy researcher in the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In addition, he has worked extensively as a policy researcher and consultant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ncluding the cultural policy projects in the Mininstry of Culture, local authorities, and public cultural organizations. He was the President of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in 2015. He is the author of Cultural Policy in Creative Society.
    • 전공분야

      성악, 오페라

    • 담당과목

      이탈리아딕션과 창법 오페라 워크숍

    전병권
    • 담당과목

      K-pop연구 이론강독 현장연계 한국문화 워크숍

    • 연구키워드

      K-콘텐츠 팬덤 문화콘텐츠 비즈니스 / (영문) K-Content Fandom Cultural Content Business

    오윤지

    상세보기

    K-콘텐츠, K-Pop, 팬덤, 문화콘텐츠 비즈니스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2023년 8월 한양대학교에서 'K-Pop 팬덤 콘텐츠 생성 구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로 '문화콘텐츠 비즈니스', '문화콘텐츠 마케팅', 'K-Pop과 팬덤'을 주제로 강의를 해왔다. 그동안 수차례 국가 R&D 프로젝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K-Pop과 팬덤'을 중심으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사)한국애니메이션학회 사무국장으로도 활동 중이다.
    I am interested in researching K-Content, K-Pop, fandom, and cultural content business. In August 2023, I earned a Ph.D. from Hanyang University with a dissertation titled "A Study on K-Pop Fandom Contents Generation Structure" I have primarily lectured on topics such as "Cultural Content Business," "Cultural Content Marketing," and "K-Pop and Fandom." Over the years, I have conducted numerous national R&D projects and published several papers focusing on "K-Pop and Fandom." Currently, I am also serving as a Director of the Animation Society of Korea.
    • 담당과목

      프랑스어딕션 오페라아리아 연주실습1

    • 연구키워드

      성악실기 논문작성법 예술가곡문헌 음악이론 합창지휘

    정아영

    상세보기

    - 서울대학교음악대학 성적우수장학생 학사졸업
    - 뉴 잉글랜드 콘서바토리 석사졸업
    - 인대애나대학교 성악 박사졸업, 합창지휘, 음악이론 부전공
    - 국립오페라단, 대구, 세종, 성정, 수리, 부일, NATS, 비엔나 뮤직 페스티벌 보이스 컴페티션, Grand Stage International 성악 콩쿨 입상
    - 미국, 체코, 한국, 오스트리아에서 오페라 <라보엠>, <줄리어스 시저>, <피가로의 결혼>, <돈죠반니>, <알치나>, <마술피리>, <파르지팔>, 창작오페라 <메러디스 빅토리호의 기적>, <나랏말싸미>, <1.5도씨> 등 다수 오페라 공연 
     
    현) 가톨릭대학교 교육전담초빙교수